태양광 에너지 관련주에는 대명에너지, 지투파워, 에스에너지 등이 있는데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미국 내 대규모 투자를 골자로 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하원을 통과하면서 국내 태양광 기업들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와 화석연료 급등 등의 영향으로 태양광 시장은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 하원이 기후변화 대응, 의료보장 확충 등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과시킴에 따라 국내 기업들에도 수혜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태양광 에너지 관련주에 대해 알아볼 예정인데요. 해당 관련주의 기업내용, 기업실적, 매출액,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주식차트의 모습까지 확인하셔서 성공투자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대명에너지
- 2000년 8월 4일 설립. 2014년 1월 21일 물적분할 후 신설법인의 사명을 ㈜코아케이블로 하고, 존속법인의 사명을 ㈜코아 케이블에서 대명 에너지㈜로 변경함.
- 2021년 12월 31일 기준 계열회사의 수는 비상장사 16개이며,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의 주 발전원인 태양광과 풍력을 기반으로 사업개발부터 설계, 조달, 시공 및 운영관리까지 전 단계를 직접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은 신ㆍ재생에너지 발전단지 투자 및 건설사업임.

- 동사의 주력 사업인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는 관련 정책 및 제도 등으로 인해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사업 중 풍력발전단지 건설사업, 태양광발전단지 건설사업, ESS를 비롯한 신규 애플리케이션 연계사업에 주안을 두고 있으며, 향후 성장할 신재생에너지 O&M(Operating & Maintenance) 사업 확장 및 가상발전소 사업자로 진출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지속할 예정.

2. 지투파워
- 동사는 2010년 12월 17일에 설립되어 수배전반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등 중(重)전 기기의 연구개발 및 제조 생산을 영위하고 있음.
- 동사의 기술은 정부로부터 신기술인증(NET), 신제품인증(NEP), 조달우수제품인증, 혁신제품인증 등 다양한 인증을 받았으며, 조달청을 통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 대한 공급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2년 4월 1일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함.

- 2022년 3월 별도기준 매출액은 52.1억 원, 영업손실 3.9억 원, 당기순이익은 4.3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동사의 주요 제품은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PCS) 등으로 나눌 수 있음.
- 현재 추진 중인 신규사업으로는 광섬유 신경망 센서 기반 안전진단 EPC, 친환경 전력기기,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스템이 있으며, 약 40여 개의 특허 및 다수의 정부기관 인증 사례 등 보유하고 있는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3. 에스에너지
- 동사는 2001년 1월 12일 설립되었으며, 태양전지 모듈 제조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및 발전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기존 태양광 모듈 판매뿐 아니라 태양광 발전소 건설사업과 유지보수 사업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는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으며, 2018년 10월에는 동사의 수소연료전지 자회사인 에스 퓨얼셀이 성공적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1%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849.2% 증가하였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EU에서 신재생 에너지 400조 투자 계획을 발표. 동사의 입지 상승 중.
- 지붕 태양광 210억 수주, 통영 HSG성동조선 공장 122억 수주, 한국 서부발전과 2022년까지 588억 공급계약 수주 등 잇따른 대형 계약 체결하였으며, 태양광 발전 사업에 있어 토털 솔루션을 제공 중임.

4. 다스코
- 동사는 1996년에 설립되었으며, 도로안전시설 전문기업으로 도로와 도로안전시설물 제조 및 설치업이 주요 사업영역이며,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 및 부동산 개발사업을 영위하는 "다스코 에너지"를 주식양수도 방식으로 매각함.
- 2020년도에 투자를 추진하여 2021년도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할 WBM(선조립 철근 매트) 사업을 추가하여 생산이 가능한 고급사양 생산 선비를 선제적으로 구축.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96.5% 감소하였으며,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소비 감소세가 크게 나타나는 가운데, 백신 개발과 조기 보급 여부가 경기 회복국면의 가장 큰 쟁점일 것으로 판단됨.
- 단열재 보드 시장에서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 2배 이상의 성장을 이루고 흑자 전환하였으나 판관비 증가 및 이자비용, 파생금융부채평가손실 등의 비용 인식으로 수익성 악화.

5. SDN
- 동사는 1994년 선외기를 판매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태양광 에너지 관련 다수의 국책사업 및 국책과제에 참여하였으며, 국내 및 해외 태양광 시장의 진일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태양광 발전사업자와 시스템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판, Inverter 등을 공급하는 태양광 사업과 어민 및 레저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선외기를 공급하는 엔진ㆍ조선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1% 감소, 영업손실은 247.6% 증가, 당기순손실은 87.2% 증가하였으며, PERC(Passivated Emitter Rear Cell) 모듈인 STEEP4(SUNDAY Technology PERC 4BB)는 투자비용 감소에 따른 수익성을 높이고 있음.
- 뉴딜 어촌 뉴딜 300 사업과 연계하여 마리나형 어항 건립 지원 및 알루미늄 어선 어민 지원 FRP 어선 대체 사업 지원 중임.

6. OCI
- 동사는 특수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1959년에 설립돼 2009년 상호를 동양제철화학에서 OCI로 변경하였으며, 폴리실리콘, TAR, BTX 등 제품 매출이 77%, 상품 매출이 8%, 용역 및 임대 등이 나머지를 하지하고 있음.
- 동사의 주요 사업부문으로 베이식 케미컬 사업 부문, 카본 케미컬 사업 부문, 에너지 설루션 사업 부문, 도시개발사업 부문, 기타 사업 부문이 있음.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5.4% 증가, 영업이익은 244.6% 증가, 당기순이익은 253.9% 증가하였으며, 종속회사 DCRE는 안천 미추홀 구의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흥행에 성공.
- 말레이시아 소재의 종속회사인 OCIM Sdn. Bhd. 는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을 현재 연간 3만 톤에서 2022년 연중 3만 5천 톤으로 확대하기 위해 생산공정개선을 진행 중.

7. 현대에너지솔루션
- 동사는 태양광 모듈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0%를 상회하였으며, 해외 Top-tier 태양광 셀/모듈 제조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추가적인 공급능력 확보 및 생산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있음.
- 동사는 음성공장 내 PV R&D Center 및 분당사무소에서 연구활동을 수행하면서 태양광 셀/모듈 제품 및 시스템 제품의 효율, 출력 향상 및 신뢰성 개선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5.4% 증가, 영업이익은 393.1%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으며, 국내 및 유럽, 호주시장에서 판매량 증가 및 판매가 인상 등으로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하였음.
-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 향상 등으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예상되며, 신규 시설투자를 통해 대면적(M6, M10) 태양전지 및 고출력, 저탄소 육상/수상용 태양광 모듈 제품을 공급할 계획임.

8. 한화솔루션
- 한화솔루션(Hanwha Solutions)은 2020년 1월,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가 통합되어 탄생한 회사로, 다양한 분야의 솔루션을 제공함.
- 기초소재 부문에서는 한화솔루션의 케미칼 부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PVC, CA, TDI 제품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리테일부문에는 한화솔루션의 갤러리아 부문과 한화갤러리아 타임월드가 속해있으며 기타 부문에는 한화 도시개발이 속해있음.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5% 증가, 영업이익은 38% 감소, 당기순이익은 73.9% 감소하였으며, 동사의 2022년 1분기 투자 현황으로는 국내외 시장 수요에 대응한 CA 생산설비 증설을 위한 CA증설사업 등이 있음.
- PE 제품은 1분기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중국 춘절 및 계절적 비수기 영향에 따른 수요 둔화로 매출 약세.

9. 다원시스
- 동사는 특수전원장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6년 1월 9일 설립되었으며, 국내 시장에서 핵융합 전원 장치를 공급하는 유일 업체로 특수전원장치 사업과 전자유도가열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특수전원장치 중 핵융합 전원 장치는 국가 연구기관을 대상, 플라스마 전원 장치는 환경 설비 전문 업체인 포스코 ICT와 민간기업인 반도체 세정장비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제품을 공급함.

- 2022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하였으며, 국내 시장을 독식하고 있던 현대로템과의 경쟁으로 우려감이 많았지만 지속적인 입찰 성공으로 수주 잔액이 쌓여 성공적으로 안착됨.
- 국토부는 2021년도 약 1조 400억 규모의 구매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축적된 기술적, 영업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경쟁 입찰 참여를 통한 신규 수주를 위해 적극 노력함.

오늘 포스팅에서는 태양광 에너지 관련주 9 종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두나무 관련주 9종목
두나무 관련주에는 대성창투, 우리기술투자, 에이티넘인베스트, 한화투자증권,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신성이엔지, 카카오, 코오롱인더 등이 있습니다. 두나무 관련주는 가상화폐, 암
lovelyoh13.tistory.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력 관련주 9종목 (0) | 2022.08.18 |
---|---|
치매 관련주 9종목 (0) | 2022.08.16 |
영화 관련주 9종목 (0) | 2022.08.14 |
2차전지 관련주 9종목 (0) | 2022.08.12 |
풍력 관련주 9종목 (0) | 2022.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