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탄소배출권 관련주 7종목

재테크하는J 2024. 6. 17. 00:08
반응형

오늘 포스팅에서는 탄소배출권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관련주에는 유니드, SGC에너지, 켐트로스, 후성, 에스제이지세종, 클라우드에어, 이건산업, 에코프로 KC코트렐, TKG휴켐스, 에코아이, 에코바이오 등이 있습니다.


탄소배출권은 일정 기간 6대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권리로 정부는 매년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이나 기관에 탄소 배출 총량을 정해 탄소배출권을 할당하고 있는데요.

 

탄소배출권이 모자라거나 남는 기업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하는데 최근 녹색 원자재로 불리는 탄소배출권 투자가 주목받고 있는데 아래 포스팅에서 탄소배출권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유니드

 

- 동사의 사업부문은 생산제품 및 제품 판매 유형에 따라 화학사업(제품 및 상품/용역), 해외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화학사업부문의 가성칼륨은  SBR, ABS, 반도체, 의약, 세제, 태양광웨이퍼 식각, 이산화탄소 포집에 사용되고 있음. 

 

- 한편 해외사업부에서는 상품중개, 탄산칼륨, 가성칼륨, 액체염소 등 화학제품, 증기 및 발전전기업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음.

 

유니드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9% 감소, 영업이익은 1621.8% 증가, 당기순이익은 9235.8% 증가하였으며, 염화파라핀공장은 약 10만톤/년 규모로 건설 중이며 2024년 2분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동사의 화학사업부 및 해외사업부의 매출이 모두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였지만 KCl, LNG, NaOH,  HCl 등의 원재료 가격이 전년동기 대비 약 36% 감소하면서 영업이익은 크게 증가함. 

 

출처: 키움증권

 

 

2. SGC에너지 - 탄소배출권 관련주

 

- 동사 및 종속회사의 사업부문은 '발전/에너지', '건설 및 부동산', '유리', '기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설 및 부동산 부문에서는 플랜트, 토건, 터미널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발전/에너지 부문은 열병합발전을 통해 증기와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며 증기는 현재 20개의 증기 수요처에 공정용 증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기는 자체 사용 후 모두 전력거래소에 역송하여 계통한계가격(SMP)으로 판매. 

 

SGC에너지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7% 감소, 영업이익은 65.9% 증가, 당기순이익은 169.3% 증가하였으며, 유리 사업부문을 제외한 사업부문에서 매출이 감소하였으며 해외에서의 매출은 256.8% 증가하였으나 국내 매출이 25.3% 감소함에 따라 전체 매출이 감소하였음. 

 

- 주요 원재료인 유연탄은 저렴한 남아공산, 콜롬비아산 유연탄이 아시아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하락하였고 이에 매출원가가 감소함.

 

출처: 키움증권

 

 

3. 켐트로스 

 

- 동사는 2006년 3월 설립 후 2017년 9월 케이프이에스 기업인수목적회사와의 합병을 통해 2017년 10월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이사회 결의(2023.01.11)를 통해 제3공장 내 사업 확장에 따른 시설투자 및 공장증설을 진행중임.

 

- 크게 첨단소재사업부와 융합소재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2차전지전해액첨가제, 반도체공정, OLED, 의약품 및 산업용 특수 접착 소재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켐트로스 주가 차트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6.8% 감소, 영업이익은 22.7% 감소, 당기순이익은 26.4% 감소하였으며, 동사의 주요 사업부문별로 첨단소재 사업에서 329억원, 융합소재 사업에서 145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음.

 

- 동사는 당기 매출액이 감소했으나,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은 거의 감소하지 않고 현황을 유지하면서 영업이익이 20% 넘게 감소했음. 

 

출처: 키움증권

 

 

4. 후성 - 탄소배출권 관련주

 

- 동사는 2006년 퍼스텍주식회사로부터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어 기초화합물(불소화합물)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불소화합물 사업분야에서 국내 유일 생산, 판매하는 등 국내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함. 

- 2022년 12월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한텍을 종속회사로 편입하여 화공기기 제조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으며, 기초화합물 화학소재는 국내 및 해외 전방 가전사, 반도체 생산 업체, 전해액 Maker 업체 등으로 판매되고 있음.

 

후성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1% 감소, 영업손실은 46% 감소, 당기순손실은 87.1% 증가하였으며, 지속되는 불안정한 경제 환경 속 중국 등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침체 등에 따른 이차전지 소재 판매 감소로 동사의 실적이 감소하였음. 

 

- 미·중 외교 및 경제갈등과 유럽 및 중동에서의 전쟁상황 등으로 인한 국내외 경기 침체 및 전방산업 둔화로 인한 이차전지소재 판매 및 반도체 특수가스 판매 감소.

 

출처: 키움증권

 

 

5. 에스제이지세종

 

- 동사는 자동차용 배기계 부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자동차용소음기, 배기가스정화기 및 기타 자동차부품이 있음. 

 

- 주요고객은 현대/기아이며 현대자동차의 국내점유율을 기준으로 공급비중을 적용하면 약 27%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2009년 현대, 기아의 품질5스타 최상위 등급인 그랜드 품질5스타를 현대, 기아협력사 중 최초로 인증받음.

 

에스제이지세종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감소, 영업이익은 10.2% 감소, 당기순이익은 54.7% 증가하였으며, 전 사업부문 성장 정체로 외형은 축소되었고, 고정비 감소에도 영업이익은 또한 부진한 실적은 시현함. 

 

- 동사는 친환경 자동차 부품 사업 부문도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투자를 확대해 전기차 배터리와 수소연료전지 핵심 부품 사업을 꾸준히 확대해 나갈 예정임.

 

출처: 키움증권

 

 

6. TKG휴켐스 - 탄소배출권 관련주

 

- 동사는 2002년 9월 15일에 남해화학에서 기업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2002년 10월 7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정밀화학분야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폴리우레탄의 중간소재인 DNT, MNB를 NT제품으로 생산/판매하고 있음. 

- 동사는 한국바스프, 한화솔루션, 금호미쓰이화학과 장기 공급계약 체결 및 계약 연장을 통하여 고객사에 질산, DNT, MNB 등을 공급하고 있음.

 

TKG휴켐스 주가 차트


- 동사의 2023년 전년 대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4% 감소, 영업이익은 3.4% 증가, 당기순이익은 64.7% 증가하였으며, 동사 주요제품인 폴리우레탄 중간소재인 DNT, MNB를 NT제품이 2023년 전체 매출의 64%에 해당함. 

 

- 희질산, 농질산, 초안을 포함한 NA계열제품은 33%에 해당하며, 그 외 암모니아, 요소수 상품 및 온실가스 저감으로 획득하는 탄소배출권을 판매하는2023년 기타 매출은 343억원이며 전체매출의 3%에 해당.

 

출처: 키움증권

 

 

7. 에코아이

 

- 동사는 장백정보통신이란 상호로 2005년 4월 6일 설립되어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획득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또한 환경컨설팅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2013년 7월 8일 에코아이와의 합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합병등기일은 2013년 8월 27일이며, 합병이후 2013년 9월 3일 에코아이로 상호변경하였으며, 2023년 11월 21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함.

 

에코아이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7% 감소, 영업이익은 97.1% 감소, 당기순이익은 89.8% 감소하였으며, 동사의 온실가스 감축사업 유형은 규제적 탄소시장(CCM) 대상사업과 자발적 탄소시장(VCM) 대상사업으로 분류됨. 

 

- 유엔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파리협정을 통해 국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탄소배출권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환경컨설팅 사업도 전도 유망한 사업으로 손꼽힘.

 

출처: 키움증권


오늘 포스팅에서는 탄소배출권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