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집중 육성하는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용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 전용 라인을 구축한다고 합니다.
LG화학이 배터리 핵심 원재료 생산력 세계 1위인 중국 화유 코발트 그룹과 두 번째 합작사를 설립해 양극재 업계 최대 이슈인 코발트, 니켈 등 원재료의 가격 상승과 수급 불균형 등 문제가 대폭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는데요.
LG화학은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양극재 생산에 필수 광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하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코발트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코스모화학 - 코발트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1968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이산화티타늄(아나타제, 루타일), 폐수처리제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업체이며, 수입제품 외 국내 경쟁 생산업체는 없음.
- 종속기업으로는 기능성필름, 2 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코스모 신소재와 유기 및 무기 화학공업 제품 제조, 시스템 인터그레이션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코스모 촉매 및 코스모 에코켐이 있음.
[코스모화학 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2% 증가, 영업이익은 509.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으며, 루타일형, 장섬유용 제품 및 상품판매 등 신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점 긍정적으로 평가.
- 신소재부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업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으로 큰 폭의 매출 상승세를 기록하였으며, 원가율 및 고정비 비중 하락으로 수익성 또한 확연히 개선된 모습.
2. 코스모신소재 - 코발트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1967년 설립되어 기능성 필름(이형필름, 점착필름, 인슐레이션필름)과 2 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토너, 토너용 자성체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2010년에 GS그룹에 인수되어 법률상 GS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이었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의 2 제1항에 의거 2015년 7월 22일 자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GS`에서 분리되었으며, 삼성전기, 삼성 SDI 등의 메이저 브랜드들이 최대 매출처임.
[코스모 신소재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9.8% 증가, 영업이익은 75.2% 증가, 당기순이익은 53.4% 증가하였으며, 매출 대부분이 수출에서 발생하는 사업구조임.
- 주력제품인 토너 및 LCO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큰 폭의 매출 상승세를 시현하였고, 원가율 소폭 상승에 그쳐 수익성 또한 크게 상승한 모습이며, 복합기 기종 토너 개발 및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3. 엘앤에프 - 코발트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2000년 설립돼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2차 전지 양극 활물질과 그에 관련된 소재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 ESS 등을 만드는 데 쓰임.
- 중국에 위치한 무석광 미래 신재료 유한공사와 경북 김천에 위치한 제이에이치 화학공업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대구 달서구와 경북 칠곡군 등에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며, 매출은 수출 96.97%, 내수 3.03%로 구성됨.
[엘앤에프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2.6% 증가, 영업이익은 2910.3% 증가, 당기순손실은 643.7% 증가하였으며, 동사의 사업 부문 중 대형 전지향 양극재 부문은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관련 수혜 분야.
- 배터리 소재 고객사들이 국내 EV/ESS 배터리 사업 모두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뉴딜 수혜 확대 전망되며, 사업 환경 개선으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확대되었으나, 주가 상승에 따른 파생상품평가손실이 발생.
4. 비케이 홀딩스
[기업내용]
- 동사는 2000년 6월 설립되었으며 2004년 6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2022년 상호를 '비케이 홀딩스'로 변경하였고, 고부가가치 소재사업인 Metal Paste사업, 반도체 패키징용 솔더볼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 및 영업력을 확장해나가고 있음.
- 비대면 경제산업이 가속화되면서 서버, PC, 노트북 등 IT 디바이스와 5G 등 통신부문 투자가 늘었으며, 모바일 수요도 하반기에는 회복세에 접어들었음.
[비케이홀딩스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8% 감소, 영업손실은 124.5% 증가, 당기순손실은 30.7% 감소하였으며, 매출이 감소한 가운데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이 모두 오르며 영업손실 폭이 증가됨.
- 다만 계속사업이익 비용이 줄면서 당기순손실은 감소하였고, 시장 트렌드에 발맞추어 새로운 제품의 개발 및 개선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Solder 조성 설계를 통해 실적 회복에 나서려고 함.
5. 포스코케미칼 - 코발트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의 주요 사업은 이차전지 소재, 첨단화학소재, 산업 기초소재로, 이차전지용 양극재와 음극재, 탄소소재 원료와 제품, 내화물과 생석회 등을 제조, 판매함.
- 포스코그룹 계열의 소재 전문회사로 2021년 약 1조 2천7백억 원의 유상증자를 통해 대규모 투자 재원을 확보하였으며,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포스코 그룹의 리튬, 니켈 등 원료, 이차전지소재연구센터 등 R&D 인프라, 글로벌 마케팅 네트워크를 연계해 사업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음.
[포스코케미칼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 증가, 영업이익은 101.9% 증가, 당기순이익은 353.7% 증가하였으며,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에너지 부문을 필두로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원가율 하락 영향으로 영업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상승한 모습.
[ 키움증권의 내용을 참고해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감사합니다.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운항선박 관련주7종목 (0) | 2022.06.10 |
---|---|
전선 관련주 7종목 (0) | 2022.06.09 |
원자력 관련주 7종목 (0) | 2022.06.08 |
식료품 관련주 7종목 (0) | 2022.06.08 |
제페토 관련주 7종목 (0) | 2022.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