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3사는 안정성과 충·방전 성능을 높인 하이니켈 배터리 등 차세대 기술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삼성SDI는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와 버튼형 배터리 등을 두루 만든다고 합니다.
삼성SDI는 차세대 Gen.6 배터리 로드맵, 전고체 배터리 로드맵과 코발트 프리(Co-Free) 기술 같은 미래 포트폴리오를 선보인다고 하는데요.
국내 배터리 업체가 주로 생산하는 각형과 파우치형 배터리는 전극 여러 개를 쌓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고 하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각형 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삼성SDI - 각형 배터리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삼성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임. 1970년 삼성-NEC 주식회사로 설립됨. 1999년 상호를 삼성SDI로 변경하였으며, 주요 사업은 에너지솔루션 부문과 전자재료 부문으로 분류됨. 에너지솔루션 부문은 중, 대형전지 등을 생산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 전자재료 부문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2000년 리튬이온 2차전지 사업을 시작한 이래 품질 개선,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 노력해 온 결과 현재까지 업계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삼성SDI 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1% 증가, 영업이익은 88.6% 증가, 당기순이익은 213.2% 증가하였으며, 전지 사업을 중심으로 전 사업부문에 시설투자를 계획 중이며,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활동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 동사는 당분기 누적 11,755억원을 Capa 증대 등을 위한 시설 투자에 사용하였으며, 각 부문별 투자금액은 에너지솔루션 부문 11,286억 원, 전자재료 부문 469억 원입니다.
2. 씨아이에스 - 각형 배터리 관련주
[기업내용]
- 2002년 9월 설립된 동사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 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 설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였으며,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씨아이에스 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4% 증가, 영업이익은 20.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전기차 산업의 발전 흐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주요 2차 전지 셀 업체들의 대규모 증설 예정입니다.
- 동사는 전방산업의 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매출액 증가 대비 개발라인 매출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 및 코로나19로 인한 해외 물류비용 및 해외 출장비(외주 인건비 포함) 등 증가하였습니다.
3. 이수화학 - 각형 배터리 관련주
[기업내용]
- 1969년 1월에 설립된 동사는 1988년 4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고, 2016년 3월 이수화학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사업부문은 크게 LAB, NP를 주제품으로 하는 석유화학 부문, 건설사업 부문, 의약사업 부문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노말파라핀 공장을 1990년에 완공하여 그 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노말파라핀을 완전 국산화하는 등 석유화학제품, 석유제품과 그 부산물의 제조가공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수화학 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55.8% 증가, 당기순이익은 123.3% 증가하였으며, 수익성 및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머 첨가제 생산시설 구축 중에 있으며,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스마트팜 사업 추진 중입니다.
- 주력부문인 석유화학부문의 매출이 상승세로 전환하였으며, 원가율 하락 및 각종 비용 감소 영향으로 영업수익성 크게 상승한 모습입니다.
4. 한농화성 - 각형 배터리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1976년 7월 설립되었으며, 2003년 1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계면활성제 산업은 정밀화학의 한 분야로서 알콜, 지방산, 아민 등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여러 가지 특성을 지닌 유도체를 생산하는 산업입니다.
- 동사는 계면활성제, 글리콜에테르(Glycol Ether), 특수산업용 유화제 등 다양한 정밀화학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고부가가치 신제품은 FM, 글라임 등 화학제품의 비중을 점차 높여가고 있습니다.
[한농화성 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0.2% 증가, 영업이익은 67.4% 증가, 당기순이익은 68.9% 증가하였으며, 매출액과 원가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증가했으나,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 억제에 성공하며 수익성이 개선되며 영업이익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글리콜에테르는 IT 산업의 성장에 따라 향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계면활성제 부분의 콜로이드 소재 부분 등 특화된 제품 개발에 따라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5. 하나기술 - 각형 배터리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2003년 3월 설립되었으며, 이차전지 공정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력사업인 이차전지 장비 분야의 사업 고도화에 집중하는 한편 재생배터리 장비 사업과 디스플레이 가공 장비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국내 이차전지 장비업체로는 유일하게 국내 이차전지 제조 3사인 삼성SDI, LG전자, SK이노베이션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고객사로는 일본의 Murata, 태국의 GPSC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하나기술 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하였으며, 2021년 내에 극판 공정의 핵심장비를 추가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양산 Full-Line 장비 제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 2020년 4월에 개량형 리튬이온 전지로 분류되는 반고체 전지의 조립공정과 화성공정라인 장비를 세계 최초로 Turn-Key로 수주받아 차세대 전지 생산공정 기술을 선점하게 되었습니다.
6. 상신이디피 - 각형 배터리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리튬이온 방식의 2차 전지 중 휴대폰 배터리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각형 CAN, 원형 CAN, CAP ASS'Y 부품과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EV CAN, ESS, 노트북의 2차 전지에 사용되는 부품을 제조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천안과 양산 등에 생산시설을 운영하며 중국, 말레이시아, 헝가리에 생산 및 판매 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 SDI를 주요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신이디피 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9% 증가, 영업이익은 10.5% 증가, 당기순이익은 114.6% 증가하고 있으며, 신제품 출시를 위한 개발 Lead Time 단축 및 삼성 SDI의 고품질 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품질관리를 바탕으로 꾸준한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습니다.
- 삼성 SDI의 요구사항인 45일의 Lead Time을 달성으로 일본업체에서 수입하던 물량을 대체하여 삼성SDI 2차 전지 원형 CAN 점유율의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습니다.
7. 신흥에스이씨 - 각형 배터리 관련주
[기업내용]
- 동사는 1979년 설립되어 리튬이온 전지 부품 제조업, 자동화 기계 제작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9년 현재 4개의 해외 비상장 계열회사를 보유 중입니다.
- 소형 원형 배터리 부문은 루시드 모터스, 페러데이 퓨처 등 원형전지 Pack Module을 장착한 전기차 판매가 증가함에 따라 수요 증가 예상되고 있으며, 전지 Pack Module 사업은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 배터리를 이용한 전지 Pack Module 인증을 진행 중입니다.
[신흥에스이씨 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3% 증가, 영업이익은 59.1% 증가, 당기순이익은 63% 증가하였으며, 동사는 원형 CID 및 중대형 각형 Cap Ass'y의 매출액이 증가하였고 헝가리 공장 매출 증가, 유럽 전기차 시장 확대 효과로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 헝가리법인을 신설하여 2020년 말 기준 5개의 중대형 Ass'y 라인을 증설하여 가동하고 있으며, 물량 증가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설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각형 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TOP7
전기차 정책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는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확대(52%)와 전기차 구매 보조금 및 세금 지원(31%), 전기차 운행 혜택(15%) 순으로 응답했다고 합니다. 전기차 구입 고려사항에 대
lovelyoh13.tistory.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 관련주 7종목 (0) | 2022.03.20 |
---|---|
클라우드 관련주 7종목 (0) | 2022.03.20 |
유승민 관련주 7종목 (0) | 2022.03.18 |
의류 관련주 7종목 (0) | 2022.03.18 |
플랫폼 관련주 7종목 (0) | 2022.03.17 |
댓글